똑똑하고 재능이 있다는 것은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게시글 주소: https://io.orbi.kr/00062818762
제목보고 좀 어이가 없으실 수도 있는데, 최근 저는 <마인드셋>이라는 책을 읽고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재능이 있다, 똑똑하다라고 표현하는 학생들은 굉장히 빠르고 정확하게 문제를 풀어내고 막힘이 없는 친구들이죠. 시간에서도 매우 빠르면서 정확하기는 또 철두철미해서 거의 실수를 하지 않습니다. 그런 친구들을 고등학생때나 재수학원에서 상당히 많이 보아왔습니다.
제가 여태 지겹게 자랑해오던 것이, 전 수학을 정말 못했고 삼수까지 하고 나서 수학을 잘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마인드셋>에서는 당시 제가 가진 수학에 대한 태도, 그러니까 못하더라도 못하는 과목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가 궁극적으로 중요했다고 말해줍니다.
저는 정말 단순하게 생각했어요. 내가 고등학교 3년 동안 수학을 제대로 공부를 못해서 이 모양 이 꼴이니, 제대로 열심히만 하면 잘 될 수도 있겠구나! 확신은 없었지만 그래도 해보면 나아지지 않을까요? 이런 생각 덕분에 저는 결국 수학을 잘하게 된 것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지능이나 IQ보다도 실패와 실수에 대한 태도이다!
<마인드셋>에서는 2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발전)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은 제가 과거에 이야기해왔던 '편견'에 비슷합니다. 난 이 과목 성적이 낮아, 난 앞으로 이 과목을 평생토록 못할 것이야, 난 아무리 노력해도 이 과목에서 성장할 수 없어, 라는 편견에 갇히면서 좋지 못한 성적을 나 스스로에 대한 강한 부정이라고 생각하며 절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태도입니다.
반면 성장 마인드셋은 유동적이고, 실패와 실수를 일종의 과정이라고 여기며 단 한번의 시험으로 자신의 능력이 결정된다고 믿지 않습니다. 못하는 것은 더 노력하고 연습하면 탁월해질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이죠. 사실 제가 뭔가 수학에 대해 큰 재능이 있고 이런 큰그림을 알아서 수학에 대해서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것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전 그냥 하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해보니까 됐어요.
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시험을 두려워합니다. 왜냐하면 낙제점을 우연히 받기라도 한다면, 그것은 내 고정불변한 능력에 대한 증거이면서 동시에 실패자로서 낙인이 찍히는 것이죠. 그래서 이런 생각을 하는 학생들은 무조건 시험도 쉬운 시험을 원하면서(이거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실험인거 같은데) 어떻게든 실패하지 않으려는 것에 집착합니다. 도전이 없으니 성장도 없고 당연히 성적이 오를 수가 없죠.
반면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학생들은 나이에 상관없이, 심지어 유치원생들에게는 어려운 퍼즐 놀이를 시키더라도 열심히 재미와 흥미를 가지고 한다고 합니다. 당연히 여지없이 다음 퍼즐로는 더 어려운 퍼즐을 선택하며, 지금 당장 그 퍼즐을 못 풀더라도 시간과 노력을 더욱 들인다고 합니다. 이런 학생들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나중에는 탁월한 학생으로 거듭나리라는 것을 우리는 어렵지 않게 예상이 가능합니다.
https://www.valuetimes.co.kr/Opinion/?idx=11762752&bmode=view
많은 분들께서 제 글을 재미있게 읽어주시고, 제가 글을 잘 쓴다고 칭찬해주십니다(감사할 따름입니다). 그런데 저도 여기 수준까지 오는 데까지 정말 오랜 시간과 노력이 들었습니다. 물론 제가 선천적으로 재능이 있었을 수도 있겠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단시간 안에 글을 잘 쓸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에는 뭔가 벼락같은 방법이 없는거 같습니다.
어릴 때부터 책 읽는 연습을 우연히 자주 하게 되었고, 글로 제 생각을 표현하는 일을 많이 하여 왔습니다. 그랬던 것이 축적되고 쌓여서 논문을 써서 교수님께 칭찬도 받고, 레포트를 써서 만점을 받기도 하고 사범대 4학년 전공 수업에서 A+를 받기도 할 수 있었던 듯 합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은 이런 긴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경지를 너무나 손 쉽게, 번개불에 콩 구워 먹듯이 편하게 먹으려고 한다는 것입니다(물론 저도 다른 과목에 대해서 그렇습니다). 수학을 못하는 학생들은 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들 앞에서 주저앉죠. 그런데 심지어 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들도, 어려서부터 굉장히 오랫동안 연습을 해왔다는 사실을 제대로 직시하지 못하고 오로지 결과만 바라봅니다.
최근에 제가 '공학수학'이라는, 미분방정식을 푸는 어려운 수학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진짜 미친듯이 저한테 어렵게 느껴지는데, 포기할까 말까 고민을 하던 차에 유튜브에서 이런 공학 수학을 가르쳐주시는 유튜브를 보고 어렵지만 어떻게든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거기서 선생님이 '자전거 타기'에 비유를 하시더군요.
우리 어릴적에 누구나 2발 자전거를 타는 것이 어렵고, 어른들이 쉽게 2발 자전거를 타는 것이 부러웠죠. 지금 2발 자전거를 타는 것이 어려운 학생들이 얼마나 있을까요? 마치 자전거를 잘 타기 위해 자주 넘어지고 시행착오를 겪은 것처럼, 당시에는 유치원생 초등학생이던 우리에게 2발 자전거가 어려웠던 것처럼, 지금 우리에게는 수능이라는 어려운 자전거 타기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저는 재능이나 지능은 분명 타고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그것이 어떻게 발현되느냐는 노력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가졌더라도 해당 분야를 연습해보고 자전거처럼 시도해보지 않으면 평생 모르고 사는 것이에요. 제가 아마도 정말 아주 옛날에 태어났더라면 다른 분야에 재능이 있어도, 농사나 짓고 살았을 듯 합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농민으로 살았을 테니까요. 연습을 하지 않은 글쓰기는 커녕 한자도 평생 모르고 살았을 확률이 높을듯 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어떤 과목이나 학문에 재능이 있다는 것은 선천적으로 무슨 태어날때부터 천지신명의 지혜를 받아서 이미 머리에 가지고 태어나는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저 많은 시간을 고민하고, 더 많이 생각하고 더 많이 연습할 수 있는 능력이 곧 재능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 학습을 하시길 바랍니다~
<수국비 상>
https://docs.orbi.kr/docs/7325/
<수국비 하>
https://docs.orbi.kr/docs/7327/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https://orbi.kr/00054952399 - 2편 유형별 학습
https://orbi.kr/00055044113 - 3편 시간차 훈련
https://orbi.kr/00055113906 - 4편 요약과 마무리
학습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536482 - 9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794208 - 10편
https://orbi.kr/00038933518 - 11편 마지막
사고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56551816 - 1편 바둑과 수싸움
https://orbi.kr/00056735841 - 2편 예절
https://orbi.kr/00056781109 - 3편 자유로운 직업세계
https://orbi.kr/00056882015 - 4편 따라하기
https://orbi.kr/00057164650 - 5편 어린 놈들이 약아서
https://orbi.kr/00057384472 - 6편 자기 스스로를 알아차리기
https://orbi.kr/00057614203 - 7편 체력분배
https://orbi.kr/00057650663 - 8편 수학적 상상력
https://orbi.kr/00057786940 - 9편 편견깨기
https://orbi.kr/00058147642 - 10편 시냅스, 알고리즘의 강화
https://orbi.kr/00060975821 - 11편 자문자답
https://orbi.kr/00061702648 - 12편 '박영진 이혼전문변호사'를 통해 재밌게 알아보는 법률 이야기
https://orbi.kr/00062050418 - 13편 수능 국어 공부
https://orbi.kr/00062206444 - 14편 현우진이 말하는 독해력과 사고력
https://orbi.kr/00062298282 - 15편 교수 면담
https://orbi.kr/00062328444 - 16편 관세법과 일관성
https://orbi.kr/00062406700 - 17편 말하기 공부법
https://orbi.kr/00062419084 - 18편 공부 못하면서 허세 좀 부리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2495541 - 19편 법조인에게도 필요한 수능 국어 비문학 독해력!
https://orbi.kr/00062583015 - 20편 - 전쟁에도 유형이 있다
https://orbi.kr/00062643940 - 21편 국어, 수학, 과탐 공부 이렇게 해보십시오
똑똑하고 재능이 있다는 것은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허리 아픈건 참을 수 있는데 방사통 때문에 다리가 진짜 미친듯이 아픔 이거 때문에...
-
인제대 컴공 0
컴공 예비 4번이면 붙을까요.......
-
오를 수 없는 목표는 포기함 고등학교 올라오고 나서는 늘 그래왔음
-
예전엔 뭐 특슬람이니 정신이 나갔니 했는데 이당시에도 ai가 중요하다는건 뭐 그렇게...
-
네
-
수학 그 때처럼 공통 불로 내주면 안되나 이제는 집단의 평균 차이가 너무 커져서...
-
그나마 아는 사람들도 이세상 사람들이 아님
-
여붕이가 여성성을 드러내면 오뿌이 물소가 달려들어 여붕이를 여왕벌화함.. 여왕벌...
-
ㅁㅌㅊ
-
사설도 많긴 한데 돈쓰기 아깝거나 사설 풀기 싫은 사람들한텐 둘다 좋을듯? 문제가...
-
제 후배 잇나요 4
ㅇ?
-
ㄹㅇ 왼쪽 캐릭터 처럼 됨
-
저 오늘 졸업합니다 10
저도 드디어 고졸이 되네요
-
붉어진 두 눈으로 13
나를 보며 넌 물었지 사랑의 다른 이름은 아픔이라는 것을 알고 있느냐고 며칠 사이 야윈 널 달래고~
-
얘 진지하게 귀엽지않냐 13
내여자친구였으면좋겠어….
-
국정원 지하실은 0
수리남에 있음
-
국정원 지하실 4
국정원 지하실 ㄹㅇ 귱금해지네.. 막 북한 간첩들.. 이런 사람들 고문 받고있으려나
-
국어 공부법 0
마더텅 풀어보니까 비문학은 정답률 좀 낮아도 괜찮은데 문학은 정답률 65% 아래로...
-
얼버잠 10
얼리버드는 자러갑니다 쿨쿨 오늘은 제발 재미있는꿈 가즈아
-
일찍일어나야하지만 아직도안자고잇어 이런게길티플래져일까?
-
진짜 순애 아닐까
-
뭐지 전기장판 2
뜨거워서 봤더니 5로되어있었음 뭐지 난 1~2로 해놓고 자는데 어떻게...
-
그래 0
개념/스킬 교재는 그래도 정품으로 사고 나머지 모의고사는 걍 다운받던가 해야겠다
-
그냥 어느정도 여유롭게 산다는건가
-
ㄹㅇ로 개.좆.됐.다
-
이쁘면 함
-
선착1명 8
은어그로구요 amg레어사가면오만덕페이백
-
저 강평프사;; 5
저 분 누군데요 예쁨?? ㅇ왤케 다 저 사람 얘기임
-
반수생인데 작년 현역때 주키 풀세트 사놓고 한번도 안푼게 있어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바로 팔로우 늘어나네 물론 나도 함
-
너무번거로워서 만들어달라하면 등짝 맞음 ㅠ
-
머리아플때 있음? 가끔 원인모를 두통이 생김
-
지렁이가되고싶어 2
흙을 먹는 착한친구 조금 징그럽지만 눈에 띄지만 않으면 귀여워
-
한지 세지 0
현역 때 정법 사문 응시했는데 이번에 사문은 그대로 가져가고 정법대신 한지나 세지를...
-
엄마 아빠한테 교재 더 사달라고 부탁드리고는 싶지만 교재비가 워낙 비싸서 그래도...
-
지금 Ap7 하고 있는 현역이인데요,, 2월달안에 16+4랑 ap7 복습까지 끝낼...
-
혹시 올해 정시 쓰신분 계실까요?(치킨 사례하겠습니다) 2
진학사 쓰신 분들 중 미적/기하 + 과탐 조합이신 분을 구합니다 ㅜㅜ 쪽지로...
-
쩔었다 5
-
졸림뇨 3
40분되면자러감
-
작수 통통92점인데 공부 다시 시작한지 얼마안됨.. ㅈㄴ 휘발된거같은데 기출부터...
-
잠이들락말락
-
누가 댓글로 저러고 100프로 튄다햇는데 ㄹㅇ이였네 하시발 형이 1시간준비해서...
-
생기부 주제 추천해달라는데 솔직히 좀 이해가안됨 거기서 좋은 주제를 추천해 주는...
-
컨텐츠 관리자님이 개무서움 ㅋㅋ
-
인데 공부 0시간했음 어카지
-
에휴다노
-
이제 진짜감
-
아직도 수학 개념 공부법을 모르겠어요… 개념 공부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말도 다...
-
저 역시 그 일원입니다
영어 지문에서 같은 내용을 봤어요
정말 멋진 내용이에요
좋은말씀 감사드립니다
감사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