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개물개 [1242984]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5-02-07 20:58:59
조회수 732

[생2] 제한효소 풀이의 기초

게시글 주소: https://io.orbi.kr/00071847907

이걸 누가 모르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저는 처음 할 때 몰랐습니다

여러분이 시험지에서 보게 될 제한효소는

점대칭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예시로 BamH I을 들어보면

5 GGATCC 3

3 CCTAGG 5

고개를 180도로 꺾거나 폰을 뒤집어서 보면

여전히 같은 모양입니다.


이 성질을 활용해서 우리는

제한효소의 절단부위 모양이 꼴 보기 싫어도

아리따운 직선 절단부위로 바꿔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왼쪽 BamH 아랫줄의 AG가

오른쪽 BamH 윗줄의 GA로

대응되면서 절단부위가 바뀌는 느낌입니다

점대칭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직선으로 절단부위를 바꿔도

양쪽 조각의 ATGC 개수도 변하지 않습니다

“수소 결합 개수” 조건을 제외한다면

모든 조건, 선지를

직선 절단부위 기준으로 해석해도 무방한 것입니다

가벼운 문제 풀이입니다

우선 염기 개수가 적은 Bgl II의 염기 수 8개부터 해석합니다

왼쪽에는 아무리 왼쪽으로 붙어 봤자

GCAGA / TCT가 되는데

이렇게 절단되더라도 염기 수 10개니까

오른쪽으로 가 줘야 합니다

AGA / TCTA면 되는 게 보입니다.

염기 쓰고 절단부위 직선으로 표시하고 이름 적어줍니다.


다음으로 적은 Sma I의 10개

Sma I끼리 꼭 붙어 있어도 가운데 조각의 염기 개수는 12개입니다

따라서 10개짜리 조각은 왼쪽 혹은 오른쪽 끝에 있습니다

오른쪽은 아까 Bgl II에서 다 찼으니까

왼쪽 끝입니다

10개가 나오려면 GCCCC / GGG입니다. 적어줍니다

다음으로 적은 Sma I의 20개, 20개

가운데에 Sma I CCC / GGG 적어줍니다

오른쪽은 꽉 찼고

왼쪽에 염기가 4개 남았습니다


마지막으로 BamH I 조건을 활용합니다

누가 봐도 왼쪽이 22개니까

개수 센 뒤에 GGA / T 채워넣으면

끝입니다


어렵지 않은 문제였습니다

ㄴ선지에서

GGGAGA 조각을 보면 맞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절단부위를 직선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GGGA

CCCTCTAG

이렇게 해서 4+8=12개라고 할 필요 없이

빠르게 구할 수 있습니다


시험지에 절단부위를 표시할 때도 꺾은선을 그리기보다는

직선 하나로 표시하는 게 훨씬 더 깔끔하기 때문에

저처럼 모른 채로 고생하다가 뒤늦게 깨닫지 마시고

미리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칼럼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 

rare-요루시카 rare-공하싫 칸나 rare-레무링 rare-빵튀하는 칸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