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65095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올해는 왜 이렇게 입결 빵꾸가 많이 뚫리는 거 같지 8
국수영 333으로 고대 자전 들어간 건 진짜 레전드인듯 ㅋㅋㅋ
-
경제러들은 외롭다
-
고등학교 호불호 좀 갈렸을 때도 그냥 개맛있게 쳐먹는 저급입맛인데 시대도 잘 먹을...
-
이게 가슴운동이지
-
이게 맞아?
-
또 딜량1등 캐리했어
-
살구 마셔봤는데 7
맛있네 그래도 처음처럼 원탑
-
늙었나봐요 8
두달전만해도 가볍게 하던걸 이제는 중간에 힘들어 자빠지네요
-
하루종일 상주하는애라 오히려 가려지면 신경쓰일것같음 좀 자제하면좋겠내
-
1컷도 낮고 만표도 높아요! 마치 24시즌 투과목 느낌이라니까요 심지어 공부량도...
-
거긴 갈 수 없는 세상인걸~
-
육군과 공군의 정확한 차이가 뭐임?
-
사탐으로 한의대갔다 뭐 어디의대갔다 이런 글보면 와,,, ㄹㅇ,,, 하,, ㅠㅅ...
-
30번 다풀면 뭐하냐고
-
화이팅입니다
-
없어도 되는데
-
부엉아 뭐해 6
.
-
그냥 울고싶어요 8
잠시 눈물 흘릴 동안만 기대게 해주세요
-
내가 하도 제곱?을 못 외우니까 17×17 289 이팔구!! 이빨을 17개 팔아~!...
-
지금보단 많이 밝았네
시베리아 기단 기압 분포 윗부분은 왜 아래로 볼록 모양인가요?
시베리아 기단의 기압 분포에서 윗부분이 아래로 볼록한 모양을 가지는 이유는 차가운 공기의 특성과 고기압의 구조에 기인합니다.
먼저, 시베리아 기단은 겨울철 아시아 대륙 내부에서 형성되는 매우 차갑고 건조한 기단입니다. 이 기단은 차가운 공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가 높고, 지표면 부근에 무겁게 깔려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체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부피가 줄어들고 밀도가 증가하는데, 이로 인해 시베리아 기단 내부의 공기는 강하게 수축하여 낮은 고도에 밀집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표면 부근에서는 기압이 매우 높아지지만, 높은 고도로 갈수록 기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시베리아 기단은 강한 고기압을 형성하는데, 고기압은 중심부에서 공기가 하강하며 주변으로 퍼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때, 공기가 중심에서 바깥으로 확산되면서 상층에서는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아지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즉, 지표면에서는 높은 기압이 유지되지만, 상층으로 갈수록 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서 전체적인 기압 분포가 윗부분이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띠게 됩니다.
더불어, 대기 중의 기압 분포는 온도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기온이 낮기 때문에 기압이 더 빠르게 감소합니다. 특히 시베리아 기단이 형성되는 지역은 대륙 한가운데 있어 겨울철 강한 냉각 효과를 받으며, 이로 인해 대류권에서 기압이 급격하게 낮아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등압선이 상층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앉으며, 마치 돔 형태처럼 윗부분이 아래로 볼록한 기압 분포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시베리아 기단은 지표면에서 높은 기압을 유지하면서도, 상층에서는 기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기압 분포에서 윗부분이 아래로 볼록한 모양을 보이게 됩니다.
라고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지금 봤던 시험중에서 가장 어려웠던 모고or수능
+실모
각각 1개 뽑아주세요.
실모는 제가 팀 소속인지라 함부로 얘기할 수 없어서.. 현장에서 봤던 시험 중에 제일 어려웠던 건 23수능입니다
스펙 레전드 지렸다 ㄷㄷ
감사합니당
N제 추천
제가 팀 소속이라 함부로 얘기할 수 없을 것 같아요..
그렇군요 작년 수능 전에 지구6장 정리본 잘썼습니당
아이고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