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냥 쎈부터 시작하고 더 어려운 교재로 가면 되나요 이건 모든 수학 공통인가
-
무믈보 30
밥먹으면거 해즈임뇨
-
고마워
-
회복술사의 재시작 21
이거 19금임??
-
안받습니다
-
마지막 자릿수 뚝 떼서 2배해서 빼면댐 Ex) 224. 4 떼서 2배해서 22에...
-
뱃지 신청을 할까 17
근데 3떨이라 못 해
-
진짜냐..
-
ㅋㅋ 11
ㅋ
-
니지카 정수리킁킁이면… 11
얼마나 특이취향인거에요 일단 니지카인 거부터..
-
제주약 합격 12
-
윗글이랑 학교 바꾸기 11
님은 고등학교 다녀야 함
-
내 윗글 나랑 결혼 11
ㅇ
-
말투가 너무 착착 달라붙음 흔들어라 우흥~❤️오조오억만큼사랑해❤️
-
뭐
-
집반수 성공 12
언미영생지 응시 외대 사과대 —> 한양대 나군 공대, 중앙대 가군 공대 서연고서성한중경외시 현우진
-
수특 문학 26강 화학 중화반응 (4) 물리 물질의 자성 (2) 화학 중화반응 문제...
보기 먼저 보나요 지문 먼저 보나요
보기마다 달라요
의미있는 보기도 있고 의미없는 보기도 있어서
전 지문이 뭔소리지 싶을때 보기 보고 다시 지문 보는편
할매턴 다 교과서에서 배껴서 낸건데
우린 그걸 사후적이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그리고 교과서는 애초에 출제자, 연구자에게나 가치있는 source지 학습자 입장에선 비효율적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따지면 릿밋핏 문학도 교과서 배낀건가요? 언어추론 수필기출은요?
? 수능 문학에 한해서는 교과서 기반해서 출제해요 출제근거 안보셨나본데...
수능에 한해서 통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반적이고 범용적으로 통용가능한 방식으로 학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할매턴 보기 쉼표의 기능 싹 다 교과서에 있어요
보기의 출전이나 출제소재가 교과서에 있을 순 있겠죠.
그런데 그게 반복되리라는 확증은 있나요?
그리고 그 교과서 소재를 분석해서 떠먹여주는 강사를 만나는게 더 효율적이지 학습자에게 그걸 스스로 하라고 요구하는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반복되는거 맞는데 강사 만나는게 효율적인건 동의
문학 누구 들으심?
216들었어요
님은 반성문 쓰기위한 화법과작문 ㄱㄱ 그래야 감형받음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원준t문학 느낌이네여이원준센세에 독서도 좋지만
진또배기는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