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수특 질뮨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io.orbi.kr/00039414052
수특 163쪽 07번 문제 관련해서요
플랑크 곡선은 곡선 밑의 면적 값이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의 복사 에너지의 크기에 비례하잖아요. 근데 문제에선 (가)에서 (다)까지 순서대로 분광형이 서로 같은 초거성 적색거성 주계열성인데 그러면 슈테판 볼츠만 법칙에서 변수는 표면온도 밖에 없잖아요...?? 근데 왜 초거성에서 주계열성 순으로 왜 면적이 작아지죠? 온도가 같으닌까 똑같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건 바로 나 >.<
-
어떤 단어책이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워드스마트??? 보바??? 뭐가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
몇몇이 이상한 재종가려는게 보여서 막고자 이글을 쓴다시대 강대 메가 정도까지는...
-
오후6시에일어나서 오후10시에 잔다는 뜻
-
자꾸 놓쳐요
-
이왜진?
-
아 ㅈㄴ 스트레스 받네 진짜
-
22 24는 국어 감독중에 한숨소리 계속 났다고 했음 종료령 치고 나서 1-2분 풀로 정적
-
H1FRMMU
-
삼천 덕 가지실 분 14
.
-
남캐일러 투척. 8
음 역시귀엽군
-
뚫어뻥인줄
-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예비 고2이며,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1학년...
-
덕코 필요없어용 댓글 첫번째 드릴게용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
-
서울대 텝스접수 1
서울대 붙으면 텝스 응시해야된다고 해서 접수중인데 학번을 입력하라고 하네요? 학번이 없는데 어쩌죵
-
교대생입니다. 말하자면 너무 길지만... 최대한 줄이면 재수 후 교대 입학했고 올해...
-
690타 나옴뇨,, 저번에 700 한번 찍고나서 그거이상으론 못가는중
-
24수능때도 딱 다 풀고 오케이 백점! 했는데 하필이면 3점짜리 이슈가 난생처음...
-
ㄹㅇ 빠져드네... 기본외모에 눈웃음 장착이면 진짜 주변에서 이성 많이 꼬일듯
-
설의붙으면 13
햄부기뿌림뇨.
-
구구덕할사람있나요 22
없어서 울었어
-
ㅇㅇㅇㅇ?
-
예비 몇까지 돌까요 보통 성신 신설입니다
-
가치 있나
-
과외시장에 왜 아이돌이 10
ㅇㄱㅈㅉㅇㅇ?
-
올해 대학 안붙chill고 3수 박chill기
-
2d는 해당 아니되요
-
굶어죽지는 않겠지?
-
사탐 1개는 사문하고 있고 개념강의 다 듣고 검더텅 다 풀어서 작수 풀어봤는데 1...
-
부드러운 제이팝 추 10
이거 중간 부분 들으면서 요루시카 꽃에 망령 생각나더라구요
-
왜 이런 노래는 좋을까 나도 날 이해를 못하겠네
-
7373 4
7373 오댕
-
몇문제정도의 차이인가
-
롤체대회도 신청함 15
일본갔다와서 달려야겠다 마스터 고고헛
-
선분 PQ가 최소가 될라면 점 C에서 선분 AB로 내린 수선이 외접원 지름 2R...
-
어우 배불러 8
이정도마시니까 딱 기분좋다
-
세상 개좁다진짜 0
건너아는 누가 이번에 고대 편입에 붙엇는데 아빠가 1년 내내 말해온 누구네집 아들이랑 동일인물이었음
-
김고은이 무쌍이여도 실제보면 배우는 배우겠죠? 인스타 미녀들보면 ㄹㅇ이목구비 크니 이쁘던데
-
별도 볼 수 없을 정도로 비참한 나새끼를 잘 설명하는 중의적인 말 같아서 참 좋아하는 말임
-
mbti 2
25-02-03
-
는 바로 주짓수... 배울 게 세상엔 왜이리도 많을까요
-
그렇게 안자면 몸이 못버틸듯
-
없이도 멀쩡히 살아있음 ㅇㅇㅇ
그래프를 잘 보시면 일반적인 플랑크 곡선의 형태와 다르다는걸 파악할 수 있어요. 플랑크 곡선에서의 곡선 아래 면적은 단위시간동안 단위면적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총량으로 온도에 비례하지만, 저 그래프는 우리가 아는 플랑크 곡선의 형태가 아니에요 (<<수특 160쪽 1번 문제 그래프랑 비교해보시면 아실듯)
저 그래프는 별의 표면적이 곱해진 것으로 판단하셔서 단위시간동안 별이 방출하는 총 에너지의 양 (=광도)로 파악하셔야 해요. 즉 저 그림에서 곡선 아래의 면적은 광도와 비례한다는 걸 파악할 수 있어야 하ㅁ니다
http://naver.me/x4bxK3zx 요거 참고해보세여 댓글 읽음 도움도ㅣ어요!!
그래프 어떻게 구분해요...??
그래프 종류는 중요해보이지는 않고 저기선 광도에 따라 복사 에너지가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가 나 다 모두 반지름이 다르니 복사 에너지의 크기가 다른 것이죠
슈테판 볼츠만 법칙은 단위면적에만 적용되는 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안 쓰입니다. 그리고 흑체복사에서 단위면적의 복사에너지 크기에 비례하는 것은 람다 맥스의 역수입니다. 흑체복사 그래프에 광도가 적용되면 아랫면의 넓이가 달라집니다.
그래프 구분은 그래프가 두 개 이상일때 각 그래프의 넓이가 다르다면 광도로 보는 것입니다. 같다면 슈테판-볼츠만 법칙이니 표면온도만이 변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