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 대학은 대학의 역사와 동문 아웃풋으로 만들어집니다.
게시글 주소: https://io.orbi.kr/00035478816
2020년 12월, 조선일보 인물 DB에 수록된 학부 및 대학원 출신자들 기준으로 집계됐습니다. 또한 분+분교 모두 합산된 지표입니다. (예 : 한양대의 경우 서울본교+에리카분교 합산)
1위부터 6위까지는 사회 각계별 유명동문 1만명 이상의 대학으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중앙대 순입니다.
7위는 부산대, 8위는 경북대가 차지했습니다. 지방거점국립대의 대표격인 두 대학의 위상은 인서울 여느 대학과 견줬을때 결코 밀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9위는 경희대, 10위는 동국대입니다.
11위부터 20위까지는 건국대, 영남대, 전남대, 한국외대, 이화여대(▲이대는 전년대비 1계단 상승), 서강대(▼서강대는 전년대비 1계단 하락), 동아대, 인하대, 단국대, 홍익대 순입니다.
21위부터 30위까지는 조선대, 전북대, 충남대, 국민대, 명지대, 계명대, 숭실대, 경남대, 원광대, 가톨릭대 순입니다.
31위부터 40위까지는 강원대(▲강원대는 전년대비 1계단 상승), 경상대(▼경상대는 전년대비 1계단 하락), 충북대, 서울시립대, 경기대, 대구대, 청주대, 아주대, 제주대, 광운대 순입니다.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가 발표한 2020년 국내 1000대 기업(상장사 매출액 기준) CEO 출신 대학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표이사 또는 사장급 이상 등기임원 1633명 중 서울대 출신은 243명으로 1위입니다. 이어서 2위는 고대(121명), 3위는 연대(114명)입니다. 이들 3개 대학 다음으로는 한대(79명), 성대(45명), 중대(39명) 순입니다.
부산대는 중대 다음 순위인 7위(37명)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작년도 30명보다 7명이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부산대 아웃풋은 현재진행형이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전망입니다.
물론 성공을 위해 본인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개인의 성공과 학벌의 관련성은 가늘면서도 가깝게 엮어져 있습니다. 대학 인지도와 위상은 결국 동문 아웃풋으로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입니다.
※ 카이스트, 포스텍 등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은 위 순위에서 예외에 해당합니다.
대학 진학시 참고하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긱사 가면 아예 안할거같고 입시 시작하고 안했더니 안하게됌...팔면 근데 막상 후회할거같기도하고
-
운동해요 5
운동 좋아요
-
집밖으로 몬나가면 어캄..
-
고3인데 수학을 거의 안하다가 이제 수꼭필 듣고 시빌점 들으려고 하는데 쎈도 같이 해야하나요?
-
승리의 언확사지단 모여라 사문지구 사문지1 지구사문 사1과1 과1사1
-
안 망한다는게 근거가 뭐임?
-
그런 건 없다 게이야.... 장난은 여기까지고, 본인은 고1 3모부터 고2...
-
잇올 비싼거같던데 러셀 자습관 같은데만 쓸 수 있나
-
ㅇㅇ
-
머풀어야댐 간쓸개? 그것도 시즌 여러개던디
-
라고 쓰면 조회수 늘어난다함
-
돈 열심히 벌어야지
-
가군 전추 넘어가기 전에 내가 붙어서 의대 합격증을 받을 수가 있냐가 너무 궁금함
-
질문해줘 40
심심해
-
챗지피티가 이렇게 적으면 어그로 끈대
-
ㅈㄱㄴ...
-
이천 시골에 룸메 있는 방이 왜 150 이냐 룸메비용임?
-
오팬무? 9
ㅈㄱㄴ
-
집밖에 못나감 2
나가자마자 배가 꾸르륵함 큰일낫다
-
물리가 재밌다는게 다른 수능 과목에 비해서 재밌다는거죠? 막 롤이나 유튜브...
-
스블만 해도 3
개념이나 스킬적으로 모자랄건 없을 것 같은데 허들링은 뭐지 김준쌤 필수이론이랑 크포 느낌인건가
-
다시는 안올 역대급 뭐 사지도 않았는데 왜이렇게 많이썻지 이번달에 산거 좀 팔아야겠네
-
오ㅑ케 그지같지... 전에 누구 좋다 이랬는데 중국인 루머 돌때였는데 짱깨는좀...
-
현역들 진짜 슬슬 오나 10
흐흐흐
-
풀었던 문제 중 안풀렸던거 다시풀어보는 과정도 필요하죠? 다시풀어보는 이유는 뭘까요?
-
탈릅했나 그런 의미로 님들이 저 팔로우걸어주셈뇨 맞팔
-
한강물 정수해서 팔면 서울시민 내 오줌 먹는거 아님? 5
라고 챗gpt가 쓰래요
-
합답형이 재미는 있었음 11
대부분이 ㄱ,ㄴ,ㄷ 5번을 정답으로 삼고 있는 문제들이 많았는데 대부분 1번 ㄱ...
-
Valley ai 진지하게 투자 공부하고싶은 사람이면 ㅊㅊ 가볍게 보기엔 좀 비쌈
-
상온 양자역학 발견 10
상온 수학 발견 상온 물리학 발견 상온 중력 발견
-
열매 안 먹어도 짜피 수영은 모다는데
-
개서리같음 얘만머리에안들어옴
-
네 접니다
-
좋아하는 가사들 3
꽃에 망령 - 나는 그리고 있어, 눈에 비친 것은 여름의 망령이야 구두의 불꽃 -...
-
수능수학이랑 비교하면 난도가 어떤가요??? 검색해보니 어려운4점문제보다 어려운...
-
07 인강 고민 9
결국 메가패스를 끊엇습니다.. 수학은 현우진선생님 들으려는데 수1 수2 는 아마...
-
정시 화미동사사문 수학 (작수2컷) 국어 영어 못함 천문우주학과 대충 32311이...
-
주왁구 옥주희 하고싶은데 아직도 9일이나 남았다
-
아니 큐브 행렬 뭔데 16
야
-
갑자기 질문 동시에 세 개 뜸
-
ㅇ
-
ㅎㅇㅎㅇ 0
-
아니 난 행렬 모른다고
-
강k 32개짜리 서바 28개짜리 이런거 벅벅하고싶은데 답지랑 문제지랑 따로노는거...
-
제이팝 추 0
-
제 고3계획임 9
일단 수학 공부 제대로안해봄 한지빼곤 다 내신1~2받앗던과목들임 수학포함 한지는...
-
언제 메가로 이적한거지ㅋㅋㅋㅋㅋ
-
김기현 아이디어랑 이미지 미친개념이요 둘이 차이점도 알려주시면 정말 ㄱㅅ하겠습니디
꾸준추ㅋㅋ
크으~ 연뽕한사발 후루룩후룩 마시고갑니다~
부산대 탈출 마렵다..
가장 최근인 2020년 12월기준으로 작성한 2020년 사회각계별 유명동문전체통계현황이야말로 정계 관계 법조계 언론계 재계 금융계 학계 의약계 문화계 방송계등 각 대학교 단과대학으로 구성된 대학교의 아웃풋을 총체적으로 측정할수있는 바로미터로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봅니다.
1위부터 6위까지는 사회 각계별 유명동문 1만명 이상의 대학으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중앙대등 소위 말하는 명문대학교 입니다.
명문 대학은 대학의 입결및역사와 동문아웃풋으로 만들어지는것입니다.
이외에 지방거점국립대학을 대표하는 부산대 경북대를 포함 경희대 동국대 건국대또한 유명대학이라 봅니다. 앞으로 고3수험생들이 대학선정시 참고할수있는 중요한 자료라 봅니다.
꾸준글 1추
시켜줘 부산대 명예사시로
서강대ㅜㅜ 애초에 입학정원이 적어서 슬픕니다
통계볼때마다 느낌 ㅠㅠ
서울대는 다 1등이노 ㅋㅋ
외대문과는 54년 개교 이공계는 80년대 초에 개교라 감안해야
설마 저기 추미애도 잇겟지
이분 3년전부터 똑같은거 계속 올렸었네...
그때 인서울못하시고 부산대 가신건가 굉장한 원한이있으시네... 이런게 훌리라고 하는건가 이젠 제발 원한 풀고 잠드소서
ㄷㄷ
감안해야 할 점.
1. 서강대처람 대학 인원수가 적은 경우 대학의 역량에 비해 아웃풋이 적어 저평가 당하기 쉽다.
2. 부산대처럼 특정 지역에서의 강세가 두드러지는 경우 본인이 사는 지역에 따라 대학의 인식차가 심하다.
3. 영남대처럼 과거 아웃풋과 현재 아웃풋의 괴리감이 큰 경우 제대로 된 학벌이라 보기 어렵다. 예전 선배들이 후배들을 인정해주지 않기 때문.
4. 분야별로 대학 서열이 다르고, 학벌의 가치가 다르다. 법조계처럼 학벌을 심하게 따지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프로 스포츠처럼 학벌 따지지 않고 실력이 우선시 되는 경우가 있다.
5. 대학 입결은 현재 재학생들의 선호도를 반영한다. 주요 동문들은 현재 대학의 사회적 인식을 반영한다. 입결이 낮아진다고 해서 인식이 낮아지는것도 아니며, 인식이 높다고 해서 입결이 올라가는것도 아니다.
근데 1은 좀 생각이 다른것이 어떻게보면 대학 동문수야말로 학벌의 가치이자 핵심 요소 중에 핵심이기때문에 예시로 들어주신 서강대가 인원수 때문에 저평가를 받는다고 보기보다는 통계대로 동문에 있어서는 서강대가 부족한 면이 많다고 보는게 옳지 않을까요? 학교 인원수가 동문수로 어느정도 직결되는 면이 있기 때문에 학교 인원수도 하나의 대학 경쟁력입니다. 한양공대, 고려대가 이부분을 자교의 매력포인트로 잘활용하고 있는 예시죠. 이때문에 많지는않지만 연대보다 고대를 선호하는 학생이 있을정도로요. 선후배 끌어주기같은, 사회에서 동문은 정말 큰 힘입니다. 그의 정반대격인 서강대는 인원수 때문에 동문이 적은거니 저평가하지마라가 아니라 서강대는 인원수 때문에 동문과 끌어주기가 약한 대학이라고 봐야죠 저는 오히려 서강대가 이런 약점을 소수정예라는 식으로 가려서 그동안 고평가 받은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Ps) 서강대 자체가 고평가를 받았다는 것이 아니라 동문이 약한건 그것 자체로 커다란 약점일 뿐인데 그부분을 지나치게 잘 감춰오지 않았나 그런 의미입니다.